요추 척추관협착증은 주로 노화에 따른 허리뼈의 퇴행성 변화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허리의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점차 좁아지면서 신경이 압박을 받아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정상적인 척추관은 신경과 혈관이 원활하게 지나갈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이 확보되어 있지만, 나이가 들면서 디스크가 튀어나오거나 관절과 인대가 두꺼워지고 뼈가 자라나면서 이 공간이 점점 좁아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허리 자체의 통증뿐 아니라 엉덩이나 허벅지, 종아리로 이어지는 방사통과 저림, 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동반되며, 오래 서 있거나 걸을 때 증상이 악화되고 몸을 앞으로 굽히거나 앉으면 일시적으로 완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디스크와 혼동되기 쉽지만, 디스크는 주로 디스크 자체가 터져서 신경을 압박하는 반면 협착증은 척추관 자체가 좁아져서 점진적으로 증상이 진행되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채교법은 고전추나 술기중 하나이며, 요천추관절 그리고 요추간 간격을 수평으로 위 아래 늘려 압박된 요추 신경의 공간을 확보하여 신경협착을 해소하고 좌,우 종아리 통증을 경감시킵니다.
추나베드를 이용한 현대추나는 틀어지거나 어긋난 척추의 정렬을 바로잡아 좁게 형성된 추간공을 넓게 만들어 추간공을 가로지르는 신경에 연결된 종아리, 허벅지, 둔부 등 통증을 해소합니다.
침은 말초신경말단을 자극하고 통증 억제 경로 및 내인성 진통물질 방출을 활성화합니다. 특히 조선대침은 침이 두껍고 깊게 자입하기 때문에 강한 침자극을 토해 국소 염증 매개물질을 방출시켜 혈류를 촉진하고 노폐물 제거와 조직 치유를 돕는 작용을 극대화합니다.